Hyundai Blue City 2016 Owner's Manual [ko]

안전 및 차량 손상 경고
본 취급설명서는 고객 및 차량의 안전과 관련한 심각한 위험과 제품 사용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사전에 알리는 안전경고 표시입니다. 지시사항
은 반드시 숙지하여 지켜주십시오.
경고, 주의표시
경고, 주의가 있는 문장 및 진하게 표시되어 있는 부분은 특히 유 념하십시오.
사람이 다치거나 사망의 우려가 있는 경우의 경고 표시입니다.
차량이 고장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경우의 주의 표시입니다.
알아두기
안전을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하는 금지 표시입니다.
차량 용어 또는 추가 설명 이 필요한 정보 표시입니 다.
선택 또는 미장착 사양표시
본 취급설명서에는 모든 트림모델 및 선택사양을 포함하여 설명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객님 차량에 장착되지 않은 사양이 설명 될 수 있습니다.
□□□□ □□
내용 찾기 방법 설명
내용으로 찾을 때
목차를 활용하세요.
점검방법이 어느 장에 있지
명칭을 모를 때
그림 목차 (내관도 I ) 를 활용하세요.
이 스위치가 뭐지?
명칭으로 찾을 때
색인(명칭) 목차 활용하세요.
클러스터 이온발생기가 어디지...
제작결함 안내
자동차제작자등(부품제작자등) : 현대자동차(주) 주 소 : 서울 서초구 양재동 231번지 연락처 : 080-600-6000
제작결함 안내 (제50조 관련)
귀하의 자동차 또는 자동차부품에 잦은 고장 등의 문제로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결함이 있다고 판단되면, 자기 및 다른 사람의 안전 을 위하여 즉시 현대자동차(주)와 제작결함조사를 시행하는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소비자 불만사항 등을 접수하여 분석한 후 해당 자동차 또는 자동차부품에 제작결함의 가능성이 있 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작결함조사를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자동차 또는 자동차부품 결함 등 소비자 불만 접수창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전화 : 080-357-2500
인터넷 홈페이지 : 제작결함정보전산망(www.car.go.kr)
실시하여 해당 제작사에게 제작결함시정(recall) 등의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목 차
안 내
안전 주의 사항
안전 장치
편의 장치
시동 및 주행
비상시 응급조치
실내/엔진룸 각종 장치 경고/표시등 안내
안전 운행을 위한 운행방법 및 주의사항
안전 장치의 사용방법 주의 사항
실내, 외부 각종 장치의 사용 방법 및 주의 사항
차량 운행과 관련된 시동 및 정지 방법, 변속기, 브레이크 등의 사용 요령
차량 고장시 응급조치 방법
1
2
3
4
5
6
정기 점검
차량 정보
색 인
┃ 일상 점검/정기 점검 등의 항목과 각종 오일류의 점검 방법 등 차량 관리 요령
차량 제원, 차량에 부착된 각종 라벨 및 고유번호
찾아보기
7
8
I
안내
외관도 I ...............................................................................1-2
외관도 II ..............................................................................1-3
내관도 I ...............................................................................1-4
내관도 II ..............................................................................1-5
엔진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1
안내
OEU015001K
외관도 I
본 도안은 실제 차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OEU015001K
1. 앞유리 와이퍼 블레이드
2. 엔진 후드
3. 헤드램프
4. 안개등
5. 견인 후크
6. 실외 미러
7. 타이어/휠
8. 앞도어
9. 중간 도어
10. 요소수 주입구
11. 탑승용 보조
12. 카메라
13. 사이드 마커 램프
14. 안테나
…………………………………………
…………………………………………
………………………………………………
…………………………………………
…………………………………………
…………………………………………
………………………………………………
…………………………………………
……………………………………
발판
…………………………………
………………………………………………
…………………………………
……………………………………………
………………………
4-110
7-27
4-26
7-47
7-47
6-17
4-37
7-34
4-10
4-12
4-31
4-14
5-29
7-49
1-2
외관도 II
OEU015002K
1
안내
본 도안은 실제 차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OEU015002K
14. 안테나
15. 연료주입구
16. 뒷 유리창
17.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18. 환풍기
19. 보조 제동등
20. 뒷도어
21. 스페어 타이어
……………………………………………
………………………………………
…………………………………………
……………………………………………
………………………………………
………………………………………………
……………………………………
4-110
4-28
4-25
……………………………
7-49
4-102
7-50
4-19
6-14
1-3
안내
OEU014003
내관도 I
본 도안은 실제 차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OEU014003
1. 램프 스위치
2. 안개등
3. 계기판 조명 조절기
4. EC O 스위치
5. VD C OF F 스위치
6. 계기판
7. 경음기
8. 운전석 에어백
9. 방향지시등/전조등 스위치
10. 와이퍼/와셔 스위치
11. 오디오 리모컨
12. 자동 정속 주행장치 스위치
13. 핸즈프리
………………………………………
………………………………………………
………………………………
………………………………………
……………………………… ……………………………………………… ………………………………………………
……………………………………
……………………
………………………………
…………………………………
……………………
………………………………………
14. 멀티 디스플레이 컨트롤 스위치
15. 조향 핸들 높이 조절 레버
16. 오디오
……………………………………………
17. 에어컨/히터 컨트롤
18. 운전석 열선 스위치
19. 동승석 열선 스위치
20. 변속기 레버
21. 동승석 에어백
22. 퓨즈 박스
23. 조향 핸들
………………………………………
…………………………………… ………………………………………… …………………………………………
………………………
……………………………… ………………………………… …………………………………
………………
4-82 4-84 4-40 5-32 5-21 4-39 4-35 3-23 4-83 4-85
4-111
5-25
4-113
4-56 4-34
4-111
4-91
3-7
3-7 5-14 3-23 7-42 4-34
1-4
내관도 II
OEU015004K
27
본 도안은 실제 차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OEU015004K
1. 실외 미러 조절 스위치 실외 미러 열선 스위치/도어 잠금 스위치
2.
3. 파워 윈도우 스위치
4. 시동 스위치
…………………………………………
5. 승객석 에어컨/히터 컨트롤
6. 탑승용 보조 발판 스위치
7. 도어 잠금 해제 스위치
8. 도어 잠금 스위치
9. 비상 경고등 스위치
10. 차선이탈
경보시스템(LDWS) 스위치
11. IS G OF F 스위치
…………………………
……………………………
……………………
………………………
…………………………
…………………………………
……………………………
……………………………………
12. 주차 보조 시스템 ON/OFF 스위치
13. 시가라이터
14. AUX ,U SB
15. 다용도 소켓
16. 컵 홀더
17. 글로브 박스
18. 엔진 후드 열림 레버
……………………………………
………………………………………
……………………………………
…………………………………………
……………………………………
……………………………
19. 클러치 페달
20. 브레이크 페달
페달
21. 가속
22. 주차브레이크 레버
23. 환풍 조절 스위치
24. 룸램프
……………………………………………
25. 선글라스 보관함
26. 실내 미러
27. 선바이저
………………………………
………………………………
……………………………… ………………………………………… ………………………………………
…4-90/4-10
………
……………
4-38
4-23
5-3 4-97 4-14 4-11 4-11 4-80 5-29
5-9 4-77
4-105 4-112 4-108 4-106 4-104
4-26
5-18
4-102
4-90
4-104
4-36
4-107
1
안내
1-5
안내
OEU014005
엔진룸
1-6
본 도안은 실제 차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OEU014005
1. 냉각수 보조 탱크
…………………………………
2. 퓨즈박스/배터리 터미널(+)
3. 엔진 오일 검검 스틱
4. 엔진 오일 주입구
……………………………
…………………………………
5. 브레이크/클러치 탱크
6. 에어클리너
7. 배터리 터미널(-)
8. 라디에이터 캡
9. 와셔액 주입구
………………………………………
……………………………………
……………………………………
……………………………………
10. 파워 스티어링 액 주입구
………………
7-44/6-6
………………………
………………………
7-16
7-14
7-14
7-19
7-24
6-6
7-16
7-21
7-20
안전 및 주의 사항
1일 1회 일상 점검 실시 .. .. . .. .. .................... .. .. .................... .. .2-2
엔진룸을 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규격타이어 장착 및 타이어 공기압 수시 점검 ........................2-3
운전석에 앉아서 ..................................................................2-3
올바른 운전자세 ..................................................................2-4
좌석, 조향 핸들, 미러 조정은 출발 전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운전석 주변은 항상 깨끗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안전벨트 착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 착용 ....................................2-5
주의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기타
에어백 관련 주의사항 ...........................................................2-6
에어백은 보조 안전장치입니다. ......... ..... ..... ..... ..... ..... ..... ..2-6
유아/어린이의 에어백 관련 주의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주·정차 중 차내 수면 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음주·과로 운전 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인화성·폭발성 물질 차내 방치 금지 ......................................2-8
창문 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말것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주행중 엔진정지 금지
정차 또는 주차 중 휴대전화기 사용요령 ...............................2-9
어린이는 적정 보호구 착용과 함께 뒷좌석에 .......................2-10
차 안에 어린이만 남겨두면 위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0
주위 안전 확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0
...........................................................2-9
주행 시 모든 도어는 잠금 상태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1
주·정차시 배기관주변 주의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1
밀폐된 공간에서의 워밍업 또는 차량 점검 금지 . .. . .. .. . .. .... .. .2-12
주차 시 바퀴에 고임목 설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2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2
액세서리의 장착 ................................................................2-13
차량 용접시 주의사항 .........................................................2-13
각종 시트커버류 작업 시 유의 .... .. .... ..... .. .... ..... .. .... ..... .. .... .2-14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및 블루핸즈 이용 .............................2-14
순정부품(규격품) 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5
기타 주의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5
터보차저 장착차의 취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6
터보차저 장착자
EGR 시스템 장착차 점검 요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7
EGR 시스템 장착차 취급요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7
EGR 시스템 장착차 점검요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8
배출가스 저감장치(DPF+요소수시스템) 장착차 취급 .. . .. . .. . 2-18
배출가스 저감장치(DPF+요소수시스템)란? ....................2-18
취급시 주의 사항 ............ ......... ........... ......... ........... ........2-19
신차 취급요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0
점검 요령 ..............................................2-16
1
2
안전 및 주의 사항
OEU025036K
1일 1회 일상 점검 실시
OEU025036K
1일 1회 운행 점검을 하십시오.
차량 하부의 누유, 누수 등을 점검하십시오.
엔진룸을 열고 냉각수, 각종 오일 벨트류
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십시오.
일상 점검은 7장, 일상 점검 항목내용을 참
조하여 점검하십시오.
차량 외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십시오.
엔진룸을 열고
엔진 오일 점검 브레이크 액 점검
차를 평평한 장소에 주차시킨 후, 엔진 시동을 끄고 5 분 후에 점검하십시오. 오일 레벨게이지를 뽑아 오일이 최대선과 최소선 사이 에 있는지 점검하십시오.
벨트류 점검
정기 점검 주기표의 점검 및 교환시 기에 따라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에 서 점검 및 교체를 받으십시오.
라디에이터와 호스에서 냉각수가 새지 않는지 점검하십시오.
냉각수 누수 점검
라디에이터
최대
최소
브레이크 리저버 탱크 내의 브레이크 액 양이 규정범 위 내에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브레이크 액이 부족하거나, 급격히 감소되었다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냉각수량 점검
최대
호스
최소
엔진이 차가울 때 냉각수 보조탱크의 냉각수 양이 최대선과 최소선 사이에 있는지 점검하고 부족하면 부동액과 물을 혼합하여 보충하십시오.
2-2
본 도안은 이해를 돕기위한 것으로 실제 차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규격타이어 장착 타이어 공기압 수시 점검
타이어는 본 차량에 적합한 규격의 타이어를
사용하고, 바닥면과의 접지상태 확인 및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십시오. 임시 타이어의 공기 압도 수시로 점검하십시오.
항상 적정 타이어 공기압을 유지하십시오.
타이어 공기압 부족 고속 주행시 스탠딩
웨이브 현상으로 타이어가 순간적으로 터지 게 되면 차량 전복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장 거리 및 고속 주행 전에 반드시 공기압을 점 검·
보충 하십시오.
알아두기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 현상 이란?
일반적으로 주행 시 타이어는 압착되었다 가 회복되는 것이 반복되는데, 공기압이 부 족한 상태로 고속 주행을 하게 되면 압착이 많이 되고 회복이 미처 덜 된 상태에서 다 시 노면과 타이어가 닿게 됩니다. 이 현상 이 계속되면 반복되는 변형으로 타이어가 단시간에 파열됩니다.
운전석에 앉아서
주차브레이크 점검 페달류 점검
주차브레이크를 힘껏 잡아 당겨 멈출때까지
(Notch)
노치 (표준치 : 7~8)
수가 적당한지 점검합니다.
계기판 점검
계기판 각종 정보의 이상 유^무 및 연료 가 적정한지 점검합니다.
이상이 있으면 서비스센터에서 점검을...
페달을 가볍게 밟아서 평상 사용 시 보다 간극이 초과하 거나 줄어들면 즉시 자사 직 영 서비스센터에서 점검 및 수리를 받으십시오.
2
안전 및 주의 사항
2-3
안전 및 주의 사항
EGHOM102A
OQT025003
올바른 운전자세
EGHOM102A
올바른 운전자세가 되도록 운전석과 조향 핸들 을 조정하십시오. 바람직한 운전자세는 좌석에 깊숙이 앉아 브레 이크 페달, 클러치 페달을 끝까지 밟았을 때 무릎 이 약간 굽혀지고, 손목이 조향 핸들의 가장 먼 곳에 닿아야 합니다. 또한,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조절되는 차량인 경우는 운전자의 귀 상단이 헤 드레스트 중심에 올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를 조 정하십시오.
좌석, 조향 핸들, 미러 조정은 출발 전에
좌석, 조향 핸들, 미러는 출발전에 조정하시
고 주행시는 절대로 조작하지 마십시오.
내·외측의 미러를 조정하여, 충분한 시계를
확보하십시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향 핸들은 반드시
주행 전에 신체에 알맞게 조절하십시오.
모든 게이지 경고등을 확인하십시오.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브레이크 경고등
이 소등되는지 점검하십시오.
차 주위에 사람이나 물체 등이 없는지 확인하
십시오.
운전하이힐운전하기 불편한
발을 신지 마십시오. 가속 페달, 브레이 크 페달, 클러치 페달 등의 조작능력이 저하되어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시킬 때에는 차량
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브레이 크 페달을 확실히 밟은 상태에서 해제 시키십시오.
운전석 주변은 항상 깨끗이
OQT025003
운전석 주변은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십시오.
깡통 등이 페달 밑으로 굴러 들어갈 경우 페달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어 매우 위험합니다.
바닥 매트는 페달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너무 두껍지 않으면서 바닥에 고정되 는 제품이어야 합니다.
실내에는 화물을 좌석높이 이상으로 적재하
지 마십시오.
2-4
OQT035014
OQT035013
안전벨트 착용
OQT035014
탑승 전원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오.
3점식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없는 어린이의
경우는 안전벨트를 직접 사용하지말고 뒷좌 석에 어린이 전용보조시트에 앉히십시오.
주행 중 어린이를 무릎에 앉히거나 팔로 안고
있지 마십시오. 경미한 충돌 사고라 할지라도 어린이를
임신 중의 여성이나 환자는 급정차, 사고 등
의 경우 복부 등에 강한 힘을 받을 수 있으므 로 의사와 상의하여 사용하십시오.
놓칠 수 있습니다.
OQT035013
2
안전 및 주의 사항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 착용
모든 좌석의 탑승자들은 가까운 거리라도 주행 전에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오.
탑승자가 기대거나 구부리지 않고 좌석에 깊게 걸쳐 앉아, 등을 등받이에 기대어 똑바로 앉은 상 태여야 합니다.
1. 안전벨트의 어깨띠 부분(1)은 가슴 부위를 지 나도록 해야 합니다.
2. 안전벨트(2)가 꼬이거나 짓눌린 상태에서 주 행하지 마십시오.
3. 안전벨트의 골반띠(3) 부분이 부분을 지나도록 해야 합니다.
4. 안전벨트를 버클(4)에 ‘찰칵’ 소리가 날 때까 지 확실하게 밀어 넣으십시오.
부드럽게 골반
기타 주의사항
1. 벨트의 어깨띠를 팔 밑으로 하거나 등뒤로 하 지 마십시오.
2. 안전벨트의 어깨띠가 목이나 얼굴을 지나지 않도록 하십시오.
3. 벨트 하나로 한번에 두 사람 이상이 함께 착 용하지 마십시오.
4.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로 좌석 등받이를 뒤 로 눕히면 만일의 경우, 안전벨트 아래로 신 체가 빠져나와 안전벨트에 목이 걸리거나 심 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2-5
안전 및 주의 사항
OHM028009
OHM028010
OHM028008
에어백 관련 주의사항
OHM028008
에어백은 보조 안전장치입니다.
에어백은 안전벨트에 의한 충격보호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개발된 보조안전장치의 하나 입니다.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일지라도 반드 시 안전벨트를 착용해야 충돌이 발생한 경우 에어백이 제공하는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으 며,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충돌이 발생 한 경우 실명, 상해, 사망 등의 신체적 불이익 을 입을 수 있습니다. 에어백이 작동될 때는 탑승자의 상체와 에어
백과의
거리가 멀수록 안전하기 때문에 차량 운행 전 운전자나 승객은 가능한 한 좌석을 뒤로 이동시켜 앉으십시오.
OHM028009
OHM028010
유아/어린이의 에어백 관련 주의사항
차량운행 상태에서 탑승한 아이들을 안전
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사항을 지 키십시오.
아이들은 항상 뒷좌석에 앉히십시오.
동승석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은 동승석에
아용 보호장치를 설치하지 마십시오. 특히 차 량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설치 시 에어백 작동에 의해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 니다. (그림 참조)
약 10-15세 정도(신장에 따라 다름)의 어
린이를 동승석에 앉혀야 할 경우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시키고
가능한 한 좌석을 뒤쪽으로 밀어 에어백과 거리를 멀리하 도록 하십시오.
아이를 안고 타지 마십시오.
특히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서 동승석 탑승시 아이를 안고 탑승하면 더욱 위험 합니다.
2-6
ODH023005
ODH023005
OQT025005
어린이나 유아 및 임산부, 노약자는 동승석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의 동승석에는 절대 앉 히지 마십시오. 또한 유아용 보조시트도 설치 하여 운행하지 마십시오. 사고시 에어백 팽창 충격으로 안면부상 및 사망사고가 초래될 수 있습니다.
주·정차 중 차내 수면 금지
장시간 주·정차할 때에는 반드시 시동을 끄 십시오. 무의식중 변속레버를 움직이거나 가속 페 달을 밟아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가속 페달을 계속 밟고 있을 경우 오버히트(과열), 엔진 및 배기관의 이상과 열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시간 주차 및 정차 중에 창문을 닫은채 로 차 안에 머물거나 수면을 취하지 마십시오. 대단히 위험합니다. 특히 시동을 켜고 에어컨 이나 히터를 켠 상태로 밀폐된 차 안에 오래 있 을 경우 질식사의 위험이 있습니다.
음주·과로 운전 금지
OQT025005
휴식을 취하지 않고 계속 운전하면 졸음이 오게 되어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장시간 운전할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최소한 2시 간마다 휴식을 취하십시오.
2
안전 및 주의 사항
2-7
안전 및 주의 사항
OEU025027K
OEU025006K
음주운전은 절대로 하지 마십시오.
음주는 운전자의 판단, 시력과 근육 조절
을 저하시키고, 소량일지라도 운전자의 반사신경, 인식, 판단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운전자 뿐만 아니라 가
족, 상대차량 운전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약물을 복용하고 운전하는 것은 복용한
약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음주운전 보다 도 위험할 수 있으므로 약물 복용 후에 는 차량을 운행하지 마십시오.
인화성·폭발성 물질 차내 방치 금지
OEU025006K
가연성 물질을 싣지 마십시오.
밀폐된 차안에 가스라이터 인화성·폭발성
물질을 두지 마십시오. 폭발할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과 같이 차안의 온도가 급상승하
경우에는 폭발 위험성이 매우 증가합니다.
창문 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말것
OEU025027K
창문 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마십시오. 대단히 위험합니다. 특히, 어린이와 함께 탈 경우 는 항상 주의하십시오.
2-8
주행중 엔진정지 금지
OEU025007K
OQT025007
정차 또는 주차 휴대전화기 사용요령
주행 중 휴대전화기의 사용은 법으로 금
지되어 있습니다. 주행 중 운전자가 휴대전화기를 사용하
는 것은 집중력이 떨어져 매우 위험합니 다. 휴대전화기는 반드시 차량을 안전한 곳에 주·정차 시킨 후 사용하십시오.
2
안전 및 주의 사항
OEU025007K
주행 중에는 시동 스위치를 끄지 마십시오. 브레 이크의 성능저하 및 조향 핸들 조작이 불가능하 게 되어 매우 위험합니다.
OQT025007
차내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오디오로부터 잡 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오디오의 고장이 아닙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휴대전화를 오디오에서 될수 있는 한 멀리 떨어져서 사용하여 주십시오. 차내에서 휴대전화나 무전기 등을 사용할 경우 는 별도의 외부안테나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무 전기 자체의 내부 안테나를 사용하시면 차량의 전기 장치에 영향을 주어 안전운행에 나쁜 영향 을 줄 수가 있습니다.
2-9
안전 및 주의 사항
OQT025008
OTQ007002
OEU025028K
어린이는 적정 보호구 착용과 함께 뒷좌석에
OTQ007002
어린이는 보호자와 함께 뒷좌석에 태워 안 전벨트나 적절한 보호장구를 착용하게 하 고, 실내에서는 뒷도어를 열 수 없도록 어 린이 보호용 잠금 장치를 작동시키십시오. 만약 적절한 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으면 급제동 또는 충돌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매 우 위험합니다.
차 안에 어린이만 남겨두면 위험
OQT025008
차에서 떠날 때는 어린이와 함께 가십시오. 어린이만 차 안에 남겨둘 경우 차 내의 안전 과 관련된 장비를 만져 의외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차안의 온도가 올라가고 겨울철에는 추워지므로 대단히 위 험합니다.
시동 키는 어린이 손에 닿지 않도록 항상 잘 관 리하시기 바랍니다. 운전장치를 만지는 등 의 외의 사고를
방지하십시오.
주위 안전 확인
OEU025028K
동승자에게도 주위를 환기시켜 도어를 열 때
안전사고가 발생치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차를 후진할 때는 미러에만 의존하지 말고 직
접 후방을 확인하십시오.
2-10
OEU025029K
OEU025034K
주행 모든 도어는 잠금 상태로
OEU025034K
·정차시 배기관주변 주의사항
OEU025029K
차량 뒷부분이 등에 닿은 상태에서 장시간
워밍업이나 고속 공회전을 하면 배기가스의 열에 의해 벽 등이 변색되거나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배기관 끝단 거리를 충분히 유지하 십시오.
2
안전 및 주의 사항
주행 시에는 반드시 모든 도어를 잠금 상태로
하십시오. 주행 중 무심코 안쪽 도어 핸들을 만지다 보면 도어가 열려 대단히 위험할 수 있습니다.
뒷도어를 열어놓은 상태로 주행하지 마십시
오.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등 대단히 위험합니다.
배기 가스가 차내로 유입된다고 생각되면, 창
문을 다 연 상태로 주행하시고, 즉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을 의뢰하십시오.
주·정차할 때 또는 워밍업할 때는 배기관 주
변에 연소되기 쉬운 것이 가까이 있으면 화재 의 위험이 있으니 마른 낙엽이나 지푸라기, 종이, 오일, 타이어 등 연소되기 쉬운 물질이 있는 곳에는 주·정차 시키지 마십시오. 특히 배기 토출구 근처와 배기가스가 배출되
는 방향에 다른 물건(차량)이 없도록 주의 하 십시오.
배기가스 열로 인한 물건(차량)화재, 부품의 변형 또는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습 니다. 출발 전에 수시로 배기관 주위 또는 배기관에
연소되기 쉬운 이물질이 오염되어 있거나 붙 어 있으면 제거하여 주십시오.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11
안전 및 주의 사항
OEU025009K
고임목
OEU025010K
OEU025008K
밀폐된 공간에서의 워밍업 또는 차량 점검 금지
OEU025008K
밀폐된 공간에서 시동을 걸어 놓으면 배기가
스가 차안으로 유입되어 위험합니다. 엔진 워밍업시에는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하
십시오.
주위가 밀폐되어 환기가 되지 않는 장소에서
장시간 엔진 시동을 걸어 두면 배기가스에 중 독될 위험이 있습니다.
주차 시 바퀴에 고임목 설치
OEU025009K
고임목
주차할 때는 반드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놓은 후, 자동변속기 차량은 「 P」 (주차), 수동변속 기 차량은 오르막길에서 「 1단」 , 내리막길에서는
(후진)로 놓고 바퀴에 고임목을 설치하십시
「 R」
오. 급경사 길에는 주차하지 마십시오. 또한, 습기가 많고 통풍이 잘되지 않는 차고에 주 차하지 마십시오.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 때
OEU025010K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 때는 우선 멈추
어 안전을 확인한 후, 가능한 저단기어를 사 용하여 변속하지 말고 신속히 빠져 나오십시 오.
교차로나 건널목의 한 가운데서 시동이 꺼졌
을 때는 주위의 가까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 아 차를 안전한 장소까지 이동시키십시오.
2-12
OEU025011K
액세서리의 장착 차량 용접시 주의사항
OEU025011K
액세서리를 장착할 때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문의하십시오. (1) 규격품 이외의 타이어를 장착할 경우 차체떨
림, 연료소비 과다, 주행성능 불량 등의 원인 이 되며 동력전달계통의 조기 소손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각종 전기장치를 추가 장착하는 경우 배선손
상, 전파장애 등으로 오디오 등의 각종 전기 장치 고장이나 화재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3) 과도한 전기장치 추가 시 발전기 충전 용량
부족에 의한 배터리 방전의 원인이 될 수 있 습니다.
.
주 의
차량의 용접 시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
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시하여 주십시 오. 용접 시 부주의에 의해 전자장치 및 ECU 등이 오작동되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차량에 용접작업을 할 때는 다음 사항을
반드시 준수하여 주십시오.
- 차량의 모든 전기장치를 “OFF” 하여 주십시오.
- 용접작업을 때는 배터리 “-”단자 (음극선)반드시 분리하여 테이프
는 고무 캡 등으로 씌워 주십시오. 음극 선을 분리하지 않을 때에는 차량의 전 기 장치에 손상이 갈 수 있습니다.
- 차량의 각 ECU 및 커넥터는 반드시 분리하십시오. 분리하지 않는 경우에 는 용접 시 고전압으로 인해 각 ECU 가 손상되어, 오작동으로 인해 사고 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주 의
- 요소수 시스템 장착 차량 용접을 DCU(Dosing Control Unit), Nox
서 커넥터, 요소수 펌프 커넥터, 요소 수(우레아) 인젝터 커넥터를 반드시 분리하고 용접하십시오. 분리하지 않 고 용접시 DCU 및 각 센서가 고전압 으로 손상 될 수 있습니다.
- 용접기의 접지선은 연료탱크에 연결 하지 마십시오. 또한 용접불꽃이 연 료탱크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불꽃에 의해 화재가 일어날 위험이 있습니다.
- 용접작업 완료 후 배터리 “-” 단자 및 커넥터는 확실히 조립하고, 용접부 및 페인트 제거 부위는 방청도장을 실시하십시오.
2
안전 및 주의 사항
2-13
안전 및 주의 사항
OEU025037K
OEU025012K
주 의
ECU 및 전기장치 장착차량 정비시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시하십시오. 전기장치의 심각한 고장 을 일으킬 수 있으며, 오작동으로 사고 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용접 관련작업시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 이외에서는 정비를 하지마십시오.
ECU 및 전자장치 장착차량의 자세한
비방법은 정비지침서를 참조바랍니다.
각종 시트커버류 작업 시 유의
OEU025012K
작업 시 잘못하면 배선의 합선이나 단선 등으
로 인해 잡음, 통풍 불량, 화재 발생 등의 원인 이 되니 주의하십시오.
시트커버나 각종 비닐커버를 씌울 경우에는
배선이나 통풍구에 유의하십시오. 배선의 합 선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블루핸즈 이용
OEU025037K
꼭 필요한 사항이 있을 시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위험하지 않은 간단한 점검 및 정비 이외에는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2-14
순정부품(규격품) 이용
OHYK024001
스티커
포장
홀로그램
스티커
홀로그램
HMC순정부품은 자사의 신차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부품으로 엄격한 검사에 합격되어 그 품질이 보증되고 있습니다. 순정부품은 다음 마크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상세한 사항은 본 책자의 「보증수리 안내」 편을 참조하십시오.
포장
OHYK024001
기타 주의사항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시동을 때나, 여름
철에 에어컨 등을 가동시킬 때는 평상시보다 엔진회전수(rpm)가 높아서 차량을 움직일 경 우에는 평상시보다 차량이 빠르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하십시오. 임의로 원격시동장치 등 전기,전자장치를 설
치하거나 무단으로 차량을 정비, 에는 차량의 작동에 문제가 생겨 예기치 못한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잠시 차에서 떠나 있을 때라도 의외의 사고
방지를 위해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고 키를 빼 주십시오. 정차중에는 반드시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
크를 작동시키십시오. 운전경력이 많은 운전자의 경우라도, 수시로
차량을 바꿔가며 운전을 할 경우에는 차량간의 페달 위치를
잘못 인식하여 페달을 오조작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가속페달과 브레이 크 페달의 위치를 오른발로 확인 하십시오.
개조할 경우
구입후 1년 이내의 신차의 경우 실내에는 인
체에 해로운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s)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탑승시 항상 모든 창문을 열고 충분히 환기를 시키십시오. 특히 날씨가 무덥거나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곳에 장시간 주차시 차량 내부 온도가 높아질 경우 두통이 나 메스꺼움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운전 중에는 가급적 외기모드로 선택하여 차량 안 쪽 공기를
환기시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약자입니다.
2
안전 및 주의 사항
2-15
안전 및 주의 사항
OQT055020
MX101
터보차저 장착차의 취급
에어클리너
인터쿨러
충분한 공회전 실시
운전시 주의사항
(1) 오일량, 오일압력 확인
시동전 오일량을 확인하고 시동후 오일압
력이 정상적으로 상승되는지 확인합니다.
압축공기
흡입공기
압축냉각 공기
실린더
컴프 레서
배출 가스
MX101
터빈
TCI(Turbo Charger Intercooler, 터보차저 인터 쿨러) 엔진은 엔진의 흡입공기를 컴프레서로 압 축시켜 강제로 높은 밀도의 흡기를 공급하는
Tu r b o C h a r g er ( 터보차저)」와 흡입된 고온의 공
기를 냉각시켜 충진효율(실린더에 공급되는 흡기 의 밀도)을 향상시키는 흡기 냉각기인 「Intercooler (인터쿨러)」를 함께 가진 엔진을 의미하며,일반 엔진보다 고출력, 고성능을 발휘함은 물론, 일반 터보차저 엔진보다도
높은 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장치입니다 .
2-16
터보차저
약 5만~20만 rpm
터보차저 장착자 점검 요령
터보차저의 고장은 대부분 윤활유 공급부족,
OQT055020
엔진오일 오염,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압축기 날개 손상 등에 의해 발생됩니다. 점검을 위하여 에어클리너 엘리먼트를 장착
하지 않고 고속 회전시키는 것을 삼가하십시 오. 컴프레서(압축기) 날개 손상의 원인이 됩 니다. 터보차저 엔진은 일반 엔진에 비해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되므로 갑작스럽게 엔진시동을 끄 면 엔진이 과열될 약1분간 공회전후 엔진을 정지시키십시오.
우려가 있습니다.
(2) 웜업(WARM UP)실시
초기 시동시 냉각된 엔진이 따뜻해 질때까
지 3∼10분정도 공회전을 시켜 주어 엔진 이 정상적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운행전 예비회전을 시켜주어야 합니다.
(3) 급가속, 급출발 금지
시동후 급가속, 급출발은 엔진 자체뿐만
아니라 터보차저 각 부위의 손상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주,정차시 급속한 엔진 정지 금지
터보차저는 운행 중 고온 상태이므로 급속
한 엔진 정지로 인한 열방출이 안되기 때 문에 터보차저 베어링부의 소착등이 발생 될 수도 있으므로 충분한 공회전을 실시 하여 터보차저의 온도를 식힌 후 시동을 끄도록 합니다.
(5) 무부하 급가속 금지
공회전 또는 웜업시의 무부하 상태에서 급
가속을 하는 것도 터보차저 각부의 손상 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를 삼가합니다.
(6) 주차 브레이크 해제시 주차 브레이크 작
동 표시등( 브레이크 레버를 당긴 후 해제를 재시도하 고 그래도 작독등이 사라지지 않으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원인 을 꼭 확인하고 조치 후 주행해야합니다.
)이 사라지지 않으면 주차
EGR 시스템 장착차 점검 요령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시스템은 엔 진에서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수냉식 EGR쿨러를 거쳐 냉각 시킨 후 흡입공기와 혼합 하여 연소실로 재순환시키는 장치로서 일반 엔 진에 비하여 질소 산화물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장치 입니다.
EGR 시스템 장착차 취급요령
EGR 시스템의 고장은 대부분 냉각수 공급
부족, 외부의 무리한 충격, 부품 교환시 정비 요령 미 준수에 의해 발생됩니다. 냉각수 부족 상태 혹은 엔진 과열 경고등 점
등 상태에서 운전을 지속했을 경우 EGR 쿨 러 내부 파손 및 엔진 전체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냉각수 부족이나 엔진 과열 시 자사 직영
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2
안전 및 주의 사항
2-17
안전 및 주의 사항
EGR 시스템 장착차 점검요령
점검 등을 위하여 EGR밸브 및 EGR쿨러를 밟고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EGR 관련 장치의 고장이 발생되어
소산화물 배출량이 허용기준을 초과하 는 경우 요소수 시스템 경고등, OBD 경 고등이 점등되며 출력저하 및 차속제한 현상이 나타나면, 즉시 가까운 자사 직 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아주십시오. 주행 중에 아래와 같은 원인으로 엔진
경고등( ) 또는 엔진 과열 경고등 ( )과 함께 출력저하 현상이 나타나면,
즉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비를 받아 주십시 오.
- 엔진 과열에 의한 냉각수 온도상승
- EGR 관련 장치의 고장
- 연료 공급 압력 이상
배출가스 저감장치(DPF+요소수시스템) 장착차 취급
배출가스 저감장치(DPF+요소수시스템)란?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해한 배기가스 성분(HC, CO, NOx & PM) DPF SCR 촉매 장치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성분, 즉 물(H 및 질소(N 여 배출가스저감장치는 내부에 촉매장치 부 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OC(Diesel Oxidation Catalyst, 디젤산화
촉매) : HC 및 CO를 저감하고 또한 매연의 일부를 저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DPF에 축적된 매연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열을 제공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2
) 성분으로 분해합니다. 이를 위하
2
O), 이산화탄소(CO2)
2CO+O2 → 2CO, 4CmHn+(4m+n)O
4mCO2+2nH2O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매연필터장치)
시스템 : 디젤산화촉매와 매연필터장치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엔진에서 배출된 매연은 매연 필터장치 내부에 물리적으로 축적되고, 후분사 및 배기관 내부에 분사된 연료에 의하 여 고열이 발생하여 주기적으로 제거됩니다.
C+O2 → CO
2
엔진
2
요소수(우레아) 시스템 : 환원제(요소수)를 이
용하여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NOx)을 물과 질소로 환원시키는 촉매정화장치입니다.
2NH3 + NO + NO2 →
2N2 + 3H2O
2-18
취급시 주의 사항
배출가스저감장치에는 촉매가 내장되어 있으
므로 발로 차는 등 외부 충격을 주지 마십시오. 촉매가 파손될 우려가 있습니다. 배출가스 저감장치 및 배기관의 길이나 방향
을 임의로 변경하지 마십시오. 배기가스 정화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습니다. 배기관에서 나오는 물에 피부가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촉매 작용에 의해 약산성으로 피부 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피부에 충분히 씻어 내십시오. 매연필터장치(DPF)는 일정 거리 주행 후, 직
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 비를 받아 주십시오.(점검 주기 10만km 또는 1년) 매연필터장치(DPF) 3회 점검 시, DPF의 잔
류재(ASH CLEANING) 청소를 실시해 주십 시오.(3년 또는 30만km. 사용 조건, 사용 엔 진오일에 따라 잔류재 청소 주기는 달라질 있으므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잔류재 청소 를 실시해 주십시오.) 매연필터장치(DPF) 장착 차량은 규정된 연료
지정된 엔진오일만을 사용하십시오.
닿으면 물로
요소수 시스템 장착 차량은 규정된 요소수(
레아)만을 주입하여 사용하십시오.
불량 연료 요소수을 사용할 경우, 촉매의
상을 일으켜 엔진 고장 및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어 고가의 교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정되지 않은 일반 엔진오일을 사용할 경우,
DPF의 잔류재 청소 주기가 짧아지게 되고
비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배기정화장치는 매우 복잡한 제어 장치 통제
를 받음으로 임의 구조 변경은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매연필터장치(DPF) 경고등이 점등 또는 점
멸되는 상태에서 차량 운행을 계속되면, 배기 정화장치가 손상될 수 있어 신속하게 직영 서 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점검 및 정비를 받으 십시오.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고열이 발생하는 장치
이오니 정비는 충분한 시간 경과 , 배출가
스 저감장치의 표면이 충분히 식은 후 작업을 실시하여 주십시오.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요소수 시스템(요소수 인젝터, 요소수 펌프,
DCU) 는 엔진 시동을 꺼도 시스템 내부의 요소
수(우레아)를 됩니다. 시스템 점검시에는 이 기능이 완료된 후 에 실시하십시오.
비우기 위한 기능이 약 2분간 계속
2
안전 및 주의 사항
2-19
안전 및 주의 사항
OEU025013K
신차 취급요령
매연필터장치(DPF) & 요소수 시스템
관련 장치의 고장이 발생되어 매연 및 질 소산화물 배출량이 허용 기준을 초과하 는 경우, 엔진 경고등( ) 점멸 및 엔진 출력저하 현상이 나타나면, 즉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서 점검 및 정비를 받아 주십시오. 부적합한 요소수(우레아) 및 유사 경유
를 사용할 경우, 촉매의 기능 저하로 촉 매 손상 및 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 니다.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내부에 촉매가 내
장되어 있으므로 절대 세척하지 마십시 오. 세척 시 촉매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임의의 장치 부착 또는 관련 부품 조작
으로 요소수가 소모되지 않을 시에는 질 소산화물 배출량이 허용 기준 이상 초과 되어 엔진 경고등( ) 및 요소수 시스 템 경고등이 점멸되면서 엔진 출력과 차 량의 속도를 제한 합니다.
매연필터장치(DPF) 3회 점검 시, DPF
의 잔류재 청소를 실시해 주십시오. (3년 또는 30만km마다 청소하십시오. 그러 나 사용 조건, 사용 엔진오일에 따라 잔 류재 청소 주기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잔류재 청소를 실 시해 주십시오.) 지정되지 않은 일반 엔진오일을 사용할
경우, DPF의 잔류재 청소 주기가 짧아 지게 되고 연비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요소수 시스템은 요소수 분사로 인하여
배기관 내 흰색 요소수 고형물이 관찰될 수 있으나, 재생 후 모두 사라지게 됩니다.
OEU025013K
1,000km 주행까지는 길들이기 운전입니다. 길들이기 운전중의 취급 방법에 의해서 이후의 수명이나 성능에 영향을 줍니다. 다음 사항을 꼭 지켜주십시오.
엔진 회전수를 2,000rpm이하로 낮춰 주십시오.
웜업 운전은 수온계의 바늘이 움직이기 시작
할 때까지 충분히 실시해 주십시오. 급출발, 급가속, 급브레이크는 불가피한 경우
이외는 피해 주십시오. 초기 길들이기에
됩니다.
따라 오일의 열화가 빠르게
2-20
Loading...
+ 298 hidden pages